본문 바로가기

지구촌 이야기

우리나라 4대 명절 세시풍속 한식의 유래, 풍습, 의미 (한식날 언제?)

728x90
반응형

우리나라 4대 명절을 아시나요? 대부분 설날과 추석은 아는데, 나머지 2개는 긴가민가할 거예요. 왜냐하면 요즘에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했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명절은 한식과 단오입니다. 오늘은 한식의 날짜, 유래, 풍습을 정리합니다.

 

 

1. 우리나라 4대 명절 한식날은 언제?

 

한식은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우리나라 4대 명절로,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입니다. 보통 양력으로는 4월 5일 즈음입니다. 한식은 일정 기간 불의 사용을 금하며 찬 음식을 먹는 고대 중국의 풍습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금연일, 숙식, 냉절이라고도 합니다. 한식 날자는 해마다 다른데 보통 음력 2월 말에서 3월입니다. 이에 2월 한식과 3월 한식을 구분했는데, 보통 2월에 한식이 드는 해는 세월이 좋고 따뜻하다고 여겼습니다.

 

 

반응형

 

 

2. 세시풍속 한식의 유래

 

한식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하나는 중국 고대 춘추시대의 인물 개자추에 관한 설화이다. 개자추는 진나라의 공자 중이를 모셨습니다. 중이는 마침내 진나라 문공으로 즉위했지만, 개자추에게는 아무런 벼슬을 내리지 않았습니다. 실망한 개자추는 면산으로 은둔하여 두문불출했습니다. 뒤늦게 이를 깨달은 진 문공이 개자추를 등용하려 했지만, 그가 세상에 나오기를 거부했다. 진 문공은 마지막 수단으로 산에 불을 질렀고, 개자추는 끝내 산을 내려오지 않고 타 죽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진 문공은 개자추를 기리기 위해 불을 사용하지 않고, 찬 음식만을 먹었는데, 여기서 한식이 유래되었다는 설입니다.

 
또 다른 설은 중국 고대의 개화 의례와 관련이 있습니다. 원시 사회에서는 모든 사물이 생명을 가지며, 생명은 오래되면 소멸하기 때문에 주기적 갱생이 필요하다고 여겼습니다. 따라서 오래 사용한 불을 끄고 새로 불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개화 의례를 주기적으로 거행했는데, 한식이란 오래된 불을 끄고 새로운 불을 피우기 까지의 기간에서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두 가지 설 중 개화 의례와 관련된 설이 유력하다고 합니다.

 

 

 

 

3. 한식날의 풍습, 놀이

 

위에서 본 바와 같이 한식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는 언제부터 한식을 명절로 지냈을까요? 1070년 (고려 문종 24)에 한식과 연등 날짜가 겹쳤기 때문에 연등을 다른 날로 바꾸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고려 전기에는 중요한 명절로 자리잡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에도 한식날을 중요한 명절로 여겼습니다. 1431년 (세종13)에 한식 사흘 동안 불의 사용을 금지한다는 명령이 내려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매년 한식 때 왕은 내병조에서 바친 버드나무로 불을 피워 궁중에 있는 관청과 대신 집에 나누어주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조선 왕실에서 한식 때 했던 가장 중요한 행사는 조상 숭배였습니다. 조선 왕실에서는 종묘 제향을 지냈고, 종묘에서 안치되지 못한 왕과 비빈 등에 대해서는 성묘를 지냈습니다.

 

 

728x90

 

 

이렇듯 한식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중요한 명절로 여겨졌지만, 오늘날에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 특별히 여기지 않습니다. 특히, 불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은 거의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일부 집안에서는 아직도 조상 숭배와 관련한 제사를 지내기도 합니다.

 

한식날에는 불을 멀리하고 조상에게 성묘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또한, 계란 위에 누가 그림을 더 잘 그리는지를 겨루는  놀이인 투란을 즐겼으며습니다. 또한, 손 없는 날로 여겨 산소에 손을 대도 탈이 없는 날이라 여겨서 산소를 이장하거나 잔디를 새로 입혔습니다.

 

한편, 한식날은 농사를 준비하는 시점으로 여겼습니다. 그래서 한식 무렵에 소의 상태를 점검하고 볍씨를 담궜습니다. 한식의 날씨를 살펴서 그 해 시절의 좋고 나쁨이나 풍흉을 점치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한식에 날씨가 좋고 바람이 잔잔하면 시절이 좋거나 풍년이 들고, 어촌에서는 고기가 많이 잡힌다고 믿었습니다. 반대로 폭풍이 오거나 큰비가 내리면 흉년이 들고 어획량도 준다고 여겼습니다.

728x90
반응형